코딩테스트

[프로그래머스] 같은 숫자는 싫어 - 파이썬 / insert 메소드 시간복잡도

futuregunmulju 2025. 5. 15. 21:18
반응형

문제 설명
배열 arr가 주어집니다. 배열 arr의 각 원소는 숫자 0부터 9까지로 이루어져 있습니다. 이때, 배열 arr에서 연속적으로 나타나는 숫자는 하나만 남기고 전부 제거하려고 합니다. 단, 제거된 후 남은 수들을 반환할 때는 배열 arr의 원소들의 순서를 유지해야 합니다. 예를 들면,

arr = [1, 1, 3, 3, 0, 1, 1] 이면 [1, 3, 0, 1] 을 return 합니다.
arr = [4, 4, 4, 3, 3] 이면 [4, 3] 을 return 합니다.
배열 arr에서 연속적으로 나타나는 숫자는 제거하고 남은 수들을 return 하는 solution 함수를 완성해 주세요.

제한사항
배열 arr의 크기 : 1,000,000 이하의 자연수
배열 arr의 원소의 크기 : 0보다 크거나 같고 9보다 작거나 같은 정수
입출력 예
arr answer
[1,1,3,3,0,1,1] [1,3,0,1]
[4,4,4,3,3] [4,3]
입출력 예 설명
입출력 예 #1,2
문제의 예시와 같습니다.

 

 

첫 풀이

def solution(arr):
    answer = []
    prev = -1
    
    while len(arr) > 0:
        
        num = arr.pop()
        
        if prev == num:
            continue
            
        answer.insert(0, num)
        prev = num
    
    return answer

처음에는 이렇게 작성했는데 시간초과가 났다.

insert() 메소드는 시간복잡도가 O(n)이다. 왜냐면 저 인덱스에 원소를 넣었으면 뒤에 있는 원소를 다 뒤로 밀어야되기 때문이다!

그래서 반복문 안에 answer.insert(0, num)이 있어서 시간복잡도가 총 O(n^2) 이 나오는 코드였던 것이다.

 

그래서 insert() 메소드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으로 작성했다.

 

두번째 풀이

def solution(arr):
    answer = []
    prev = -1
    
    for n in arr:
        if prev != n:
            answer.append(n)
            prev = n
        
    
    return answer

이러면 통과!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