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문제
정수를 저장하는 덱(Deque)를 구현한 다음,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명령은 총 여덟 가지이다.
- push_front X: 정수 X를 덱의 앞에 넣는다.
- push_back X: 정수 X를 덱의 뒤에 넣는다.
- pop_front: 덱의 가장 앞에 있는 수를 빼고, 그 수를 출력한다. 만약,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- pop_back: 덱의 가장 뒤에 있는 수를 빼고, 그 수를 출력한다. 만약,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- size: 덱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.
- empty: 덱이 비어있으면 1을, 아니면 0을 출력한다.
- front: 덱의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. 만약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- back: 덱의 가장 뒤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. 만약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입력
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(1 ≤ N ≤ 10,0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.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, 100,000보다 작거나 같다. 문제에 나와있지 않은 명령이 주어지는 경우는 없다.
출력
출력해야하는 명령이 주어질 때마다,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.
코드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
from sys import stdin, stdout
write = stdout.write
dq = deque()
N = int(input())
for _ in range(N):
command = stdin.readline().strip().split()
c = command[0]
if len(command) == 2:
a = int(command[1])
if c == "push_front":
dq.appendleft(a)
elif c == "push_back":
dq.append(a)
elif c == "pop_front":
if len(dq) == 0:
write("-1\n")
else:
write(str(dq.popleft())+"\n")
elif c == "pop_back":
if len(dq) == 0:
write("-1\n")
else:
write(str(dq.pop())+"\n")
elif c == "size":
stdout.write(str(len(dq))+"\n")
elif c == "empty":
if dq:
write("0\n")
else:
write("1\n")
elif c == "front":
if dq:
write(str(dq[0])+"\n")
else:
write("-1\n")
elif c == "back":
if dq:
write(str(dq[-1])+"\n")
else:
write("-1\n")
sys.stdout.write() 이 너무 길어서 그냥 write()만 쓰고 싶었다. 그러려면 import sys 하고 write = sys.stdout.write() 으로 쓰면 write() 으로 작성했을 때 함수가 자동 호출된다! 파이썬 진짜 문법 너무 좋다........
반응형
'코딩테스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] 1158 요세푸스 문제 - 파이썬 (0) | 2025.04.25 |
---|---|
[백준] 10828 스택 - 파이썬 (0) | 2025.04.25 |
[백준] 2164 카드2 - 파이썬 (0) | 2025.04.25 |
[백준] 11286 절댓값 힙 - 파이썬 (0) | 2025.04.25 |
[백준] 1927 최소 힙 - 파이썬 (0) | 2025.04.25 |